드디어 두 번째 팀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이번 팀 과제는 뉴스 피드 만들기였고, 여러 명이 함께 작업하는 만큼 시작 전에 다양한 준비가 필요했다.
1️⃣ 주제 정하기
처음에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최종적으로 React 9기 캠프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는 익명 게시판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단순히 피드를 올리는 것뿐만 아니라, 이전 특강이나 강의 영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링크 기능도 추가하기로 했다.
2️⃣ 와이어프레임 작성
최근에 했던 일중에 가장 즐거운 일이 아니었나 싶다. 우리가 만들 사이트 UI 만들고 같이 공유하고 고민하면서 어떠한 로직으로 사이트가 움직여야 할까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다.
3️⃣ 커밋 컨벤션 정하기
커밋 할때 지켜야 하는 커밋 메세지를 작성했다.
기존에 많이 쓰는 템플릿이 있어서 약간의 수정을 거쳐 어렵지 않게 우리가 사용할 커밋 메세지 규칙을 얻었다😊
4️⃣ Issues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하기
🧐 Issues란?
프로젝트에서 해야 할 작업을 작은 단위로 관리하는 기능이라고 한다.
평소에 사용해본적이 없는 기능이라 어색했지만 오늘 많은 시간을 들여 issues를 작성했다.
프로젝트에서 발생되는 작업들을 이슈로 생성하여 관리하며
이슈에 대한 커밋 메세지들을 하나의 페이지에서 관리가 가능하고
✅ 이 사람은 뭘 했고
✅ 무슨 작업을 하고 있고
✅ 뭘 해야하는지
다른 팀원들이 쉽게 알 수가 있기 때문에 팀 프로젝트를 하거나 현업에 가서 일을 할땐
필수로 작성해야하는 부분인 것을 배웠다.
Issues 에는 내가 코드를 작성하는 어떠한 어려움이 있고 뭘 해결해야하는지 간단하게 적을 수 있고
해야할 일과 어떤 커밋을 했는지도 위의 사진을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가 있다.
그만큼 다른 팀원들도 내 작업에 도움을 많이 줄수 있기 때문에 꼭 작성 해야하지 않을까? :)
5️⃣ Pull Request 배우고 사용해 보기
각자 개인 브랜치(branch) 에서 작업을 진행하지만, 결국 그 코드들은 하나로 합쳐져야 한다.
하지만 내가 작성한 코드가 문제가 있거나 오류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면? 🤔
만약 다른 사람의 동의 없이 내 코드를 development 브랜치에 병합해버린다면? 😨
그렇게 되면 팀원들의 코드까지 망가질 위험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Pull Request(PR) 를 활용한다.
- PR을 생성하면 팀원들에게 내 코드를 검토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
- 팀원들은 코드를 한 줄씩 확인하면서 코멘트를 남길 수 있다.(친절하게😅)
- 피드백을 통해 코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다수의 승인을 받으면 내 코드가 공식적으로 반영된다!
PR은 협업에서 정말 중요한 과정 중 하나다.
✍️ 마무리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팀원들과 협업하는 법을 배우면서, Issue 관리, PR 리뷰, 커밋 컨벤션 등
다양한 협업 도구를 익히고 있다는 것이 너무 즐거웠고 오늘 하루도 정신차려보니 순식간에 지나버렸다.
아직 배울 것이 많지만, 개발자로서 성장하고 있는 중이다 !!